728x90
728x90
페이지 제목 제공웹 페이지의 제목은 유일하고 서로 다르게 제공해야 한다. 그렇게 제공하면 여러 페이지가 열려 있는 경우 비장애인들도 제목만 보고 구분하여 빨리 선택할 수 있다. 스크린리더 사용자도 제목이 전부 똑같이 제공되어 있거나 내용과 다르게 제공되어 있으면 인식하기 힘들기 때문에 페이지 제목을 적절하게 제공해야 한다.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모든 프레임에 제목을 제공하면 시각 장애인, 지적 장애인, 중증 지체 장애인 등의 사용자가 프레임 제목을 통해 프레임 간을 매우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콘텐츠 제목 제공 콘텐츠 블록에도 제목을 제공해야 한다. 뉴스스탠드뉴스스탠드 콘텐츠는 헤딩 태그로 콘텐츠의 제목을 "뉴스스탠드"라고 제공하는 것이 적절하다. 여기에서 주의할 사항은 뉴..
1997년에 일본에서 포켓몬스터 전뇌 전사 폴리곤 편이 방영되었을 때 이 영상으로 인해 750명 정도의 어린아이들이 구토, 어지럼증 증세를 호소하였으며, 심한 경우에는 경련을 일으키거나, 의식 상실, 호흡 장애 등을 겪었다. 원인은 밝은 빛의 화면 점멸이 연속적으로 나오는 장면을 보고 일어난 '광과민성 발작'으로 밝혀졌다. 광과민성 발작이란 오랜 시간 불규칙적으로 깜빡거리는 광과에 자극받아 생기는 간질 발작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에서는 시작 전에 방을 밝게 하고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서 즐기라는 문구가 생겨나기도 했다. 해결 방안번쩍이는 콘텐츠가 차지하는 면적의 합이 화면 전체 면적의 10% 미만시간을 3초 미만으로 제한사전에 경고하고 중단 가능한 수단을 제공 깜빡거리고 번쩍거리는 ..
자동으로 변경되는 콘텐츠는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웹 콘텐츠는 스크롤 및 자동 갱신되는 콘텐츠를 장애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일시 정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정지 기능 제공에 대한 사례들을 살펴보도록 하자. 자동 변경 슬라이드 이전, 다음, 정지 기능을 제공해야 하며 정지 버튼이 없더라도 마우스 오버 시와 키보드 접근 시에 정지되도록 구현하면 정지 기능을 제공한 것으로 인정됩니다.자동 변경 콘텐츠 실시간 검색어처럼 자동 변경되는 콘텐츠에 이전, 다음, 정지 기능이 제공되지는 않더라도 마우스 오버 시와 키보드 접근 시 모든 콘텐츠가 보이고 탐색 가능하면 준수입니다. 비장애인들도 이전 콘텐츠를 보고 싶었는데 넘어가 버린 경우 이를 제어할 수 없으면 해당 콘텐츠가 나올 때까지 기..
콘텐츠를 탐색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사용자들은 시간 제한이 있는 콘텐츠를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시간 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응답 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시간 제한이 있더라도 온라인 경매, 실시간 게임 등과 같이 반응 시간의 조절이 원천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 검사 항목이 적용되지 않는다. 다만, 이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시간 제한이 있다는 것을 미리 알려주고, 종료되었을 경우에도 알려주어야 합니다. 세션 시간이 20시간 이상인 콘텐츠는 예외로 간주해야 한다. 시간 연장이 불가능한 콘텐츠 충분한 시간 제공종료 안내조절 수단 제공웹 콘텐츠 제작 시 시간 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가급적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안 등의 사유로 시간 제한이 반드시 필요할 경우에는 이를 회피할 수 있..
웹 페이지에서 컨트롤을 마우스로 조작할 때 컨트롤이 너무 작으면 클릭하기 어렵다. 사용자 입력 및 컨트롤은 조작 가능하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여기에서의 조작 가능 기준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컨트롤 대각선 길이 6mm 이상컨트롤이 너무 작아서 클릭하기 불편하셨던 적 없던가? 비장애인들도 컨트롤이 작으면 조작이 힘든데요, 정교한 마우스 조작을 할 수 없는 분들은 더 힘들다. 따라서 웹에서 컨트롤의 대각선 길이는 6mm 이상으로 구현되어야 한다.컨트롤 테두리 안쪽으로 1픽셀 이상의 여백 컨트롤이 연달아 있을 때 1픽셀 이상의 여백이 있지 않으면 컨트롤 구분도 힘들고 잘못 선택할 확률도 높다. 따라서 컨트롤은 테두리 안쪽으로 1픽셀 이상의 여백을 두어야 한다. [ 출처 ]BoostCourse 웹 UI..
비장애인들은 마우스를 사용하여 쉽게 웹 페이지를 탐색하지만, 마우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키보드 사용자는 키보드로 웹 페이지를 탐색한다. 따라서 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키보드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즉, 마우스로 조작 가능한 기능과 키보드로 조작 가능한 기능이 동일하도록 구현해야 한다. 키보드 사용 보장에 대한 사례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사례에 따른 해결 방안마우스 오버 시 드롭 다운 메뉴가 노출 키보드 접근 시에도 드롭 다운 메뉴가 노출되고 메뉴에 접근 가능하도록 구현자동 롤링 콘텐츠에 마우스 오버 시 전체 콘텐츠가 노출 키보드 접근 시에도 전체 콘텐츠가 노출되도록 구현특정 버튼에 마우스 오버 시 레이어 노출 키보드 접근 시에도 레이어가 노출되도록 구현이미지 또는 초점을 ..
웹 페이지에서는 소리가 자동으로 재생되지 않아야 한다. 여기서 소리는 동영상, 오디오, 음성, 배경 음악 등 콘텐츠가 제공하는 모든 소리를 말한다. 이런 소리가 자동 재생됨으로 인해 스크린리더 사용자가 콘텐츠를 인식하고 사용하는데 방해받지 않아야 한다. 페이지 진입 시 자동 재생되는 3초 이상의 배경음 콘텐츠(동영상 포함)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로 페이지 진입 시 자동으로 음악이 나오거나 동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스크린리더 음성과 겹치게 되면서 페이지의 내용을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콘텐츠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파일은 정지 상태로 제공되어야 하고 사용자가 요구할 경우에만 재생 가능하도록 제공해야 한다. 웹 사이트를 탐험하다보면 종종 접속하고나서 페이지 로딩이 완료된 후, 무언가의 영상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곳..
페이지 글씨가 작아도 알아보기 힘들지만 명도 대비가 낮아도 가독성이 떨어져서 내용을 인식하기 어렵다. 노안, 저시력, 색약, 색맹 등의 사용자들도 불편함이 없도록 콘텐츠를 제공해야 하며, 비장애인들도 명도 대비가 높다면 콘텐츠를 더 잘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텍스트 콘텐츠와 배경 간의 명도 대비는 4.5:1 이상이어야 한다.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 대비에 대한 사례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명도 대비 평가 방법텍스트 콘텐츠 색과 배경 색을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대비 한다.추천하는 명도 대비 평가 도구는 다음과 같다.Colour Contrast AnalyzerColour Contrast CheckContrast AnalyserColour ContrastContrast Ratio텍스트 콘텐츠 색과 배경 색의..
콘텐츠는 색에 관계없이 인식될 수 있어야 한다. 즉, 색을 구분하지 못하더라도 콘텐츠를 인식하는데 문제가 없어야 한다는 뜻이다. 웹 개발자는 색이 아닌 패턴, 굵기, 모양, 테두리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다음의 예시를 보며 알아보도록 하자. 1. 데이터 차트 2. 슬라이드 버튼 선택 여부 3. 페이지내이션 4. 탭 버튼 선택 여부 [ 출처 ]BoostCourse 웹 UI 개발 : https://www.boostcourse.org/web344/lecture/35108네이버 누리(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 : https://nuli.navercorp.com/guideline/s01/g03
HTML 태그 내 적절한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한다.대체 텍스트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 사유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자. 이미지에 대한 설명모종의 이유로 이미지를 불러오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브라우저는 alternative 속성을 가지는 ' alt '의 내용을 대체 텍스트로 보여주게 된다. 스크린리더의 경우 해당 이미지의 ' alt ' 속성 내용을 읽어주기에, 반드시 작성해야 하는 속성이라 볼 수 있다. 데이터 차트나 복잡한 콘텐츠데이터 차트나 복잡한 콘텐츠도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의 의미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도록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 ... 년도 학과 지원 수 2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