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지도 투영3차원의 지구를 2차원의 지도로 만들기 위해 축척을 바꾸고 형태를 변환시키는 과정을 뜻한다. 지구(타원체면) 위의 모든 점들의 위치에 대한 비틀림을 최소화하여 곡선을 평면으로 옮기는 방법이다. 투영 결과의 조건등거 투영 : 투영 전후에 대한 점들 간의 거리비가 일정할 것등적 투영 : 투영 전후에 대한 형상의 면적비가 일정할 것등각 투영 : 투영 전후에 대한 두 선분이 이루는 각이 동일할 것그러나 위의 세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타원체를 평면에 옮기는 과정에서 반드시 하나 이상의 왜곡이 발생하는 까닭이다. 해당 왜곡을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투영법의 종류가 나뉘어진다. 등각 투영의 경우 형상이 변하지 않으므로 정형도법 또는 상사 투영법이라고도 한다.지역간 면적비를 유지하면서 평면 지도에..
기준 좌표계의 예3차원 직각좌표축지좌표극좌표2차원 평면직각좌표 3차원 직각좌표원점 : 지구의 질량 중심X 축 : 원점에서 그리니치 자오선과 적도면이 만나는 지점의 연장성Y 축 : X 축으로부터 적도면을 따라 동쪽으로 90˚ 위치 방향Z 축 : 타원체의 회전축 측지좌표(지리좌표)경도 : 그리니치 자오면과 임의의 점(P)을 통과하는 자오면 사이의 각위도 : 임의의 점(P)을 통과하는 타원체의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축지 경위도 : 준거 타원체의 법선(수직선)을 기준으로 함천문 경위도 : 지오이드의 법선을 기준으로 함 2차원 평면직각좌표지표면을 평면으로 표시하는 협소한 지역에서는 간단한 수학적 표현으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지구의 곡률을 고려하는 넓은 지역일 경우 투영법을 사용 극좌표거리와 방향으로 위치를 표..
지오이드지표면보다는 단순하되 지구 타원체 보다는 지구에 가깝게 지구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국제 기준 지구 타원체와는 높이 차이로 표시되며, 최대 100m 정도의 차이를 가진다. 지표의 고도를 측정함에 있어 지구 타원체보다 해수면을 이용하면 편리하다. 지오이드의 특성평균 해수면을 육지까지 연장시켜 지구를 둘러싸게 한 가상적인 면이다.유체인 해수 표면은 물리적으로 평형을 이루므로 지구 중력 방향과 수직을 이룬다.지구 타원체에 비해 바다에서는 낮고, 육지에서는 높다. 지오이드의 결정지표면의 수많은 점에서 중력 또는 퍼텐셜(potential)을 측정한다.절대 중력과 상대 중력을 측정하여 해면 위의 중력으로 환산하고, 기준 타원체와 비교하여 중력 이상을 구한다.중력 이상을 지오이드고로 환산하고 이를 통해 지오..
좌표계 혹은 자리표계(coordinates) 공간상의 한 물체 또는 한 점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좌표로써 표시된다. 위치란 어느 좌표계에 있어서 다른 점들과 어떤 기하학적인 상관관계를 갖는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그 좌표계의 특징점 또는 특정선으로부터의 길이와 방향을 매개로 하여 표현한다. 이 때 어느 좌표계의 기준이 되는 고유한 점을 원점(origin), 매개가 되는 실수를 좌표(coordinates) 라고 한다. 스칼라 순서쌍을 이용해 n차원 공간의 각 지점을 표현하는 방법을 말한다. (1, 5) 와 같이 말이다. 스칼라는 실수를 말하거나, 경우에 따라서 복소수나 다른 일반적인 환(ring)의 원소를 말하기도 한다. 좌표계의 종류수직선1차원의 좌표계라고도 말할 수 있다.X 축으로만 이루어진 그..
수치 지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선행되어야 하는 개념들이 존재한다. 디지털 매핑(Digital Mapping)컴퓨터의 화상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지도에 기재된 정보를 항목별로 분류 후 데이터베이스화이후 해당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용자의 목적에 맞춰 지도를 자유로이 작성하기 위한 기술 수치 지형도지형 지물에 대한 위치와 형상을 좌표 데이터로 나타내어 전산 처리가 가능한 형태로 표현한 지도일반적으로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해 중·대 축척인 지형도나 현황도를 작성하여 수치화한 지도[ 수치 지형도 추가 설명]1. 컴퓨터의 기록 형태는 래스터와 벡터 형태로 구분되어 저장됨2. 일반적으로 도형을 X, Y 좌표계에서의 좌표값 조합과 두 좌표를 연결한 선분을 사용하여 지도 내 도형을 표현3. 각종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계에 의..
측지 측량지구의 중력과 형산 간의 관계를 규명한다.지구의 곡률을 고려한 측량이다.기하 측지와 물리 측지로 세분화된다. 일반 측량인공 또는 자연지물 두 점간의 각, 거리, 방향 등을 측정하여 다른 한 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술이다.전통 측량과 응용 측량으로 나눌 수 있다.국토 계획과 각종 건설 공정 및 실제 현장에서 요구되는 지형 정보 구축 기술이다.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측량 GPS 위성 측량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전파를 이용한 위치 결정 시스템이다.측량용 수신기를 이용할 경우, 전 세계 어디서나 cm 이하의 오차로 위치 측정이 가능하다. 사진 측량빛 또는 전자파 에너지의 반사 특성으로부터 얻어지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수치 영상의 형태로 기록하고, 이를 측정 및 해석하여 정략적(계량화 가능)이고 ..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지리 정보 시스템은 지형 정보(Geographic Information)와 정보 시스템(Information System)의 합성어이다.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지형학적 정보와 연계하여 보다 조지화된 형태로 제공하는 효율적인 정보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GIS는 지형 공간 자료(Geographic Data)와 관련된 속성 자료(Attribute Data)를 연결하여 처리하는 정보시스템이다. 지형 공간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및 저장, 갱신, 처리, 분석, 출력하여 의미있는 정보를 생산하기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지리 자료, 인적 자원의 통합적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GIS 활용 분야GIS는 현실에서 다음과 같이 활용되어 우리 삶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