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링크 텍스트는 용도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링크의 용도나 목적지를 링크 텍스트만으로 또는 주변의 맥락으로부터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링크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적절한 링크 텍스트에 대한 사례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빈 링크 링크 텍스트를 제공하지 않아 이렇게 빈 링크가 존재하는 경우,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무슨 링크인지 알 수 없으며 링크가 크기를 갖지 않는 이상 키보드 사용자는 어디에 초점이 갔는지 알 수 없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의미 없는 빈 링크는 제거해야 한다. 독립적 이미지 링크이미지를 독립적 링크로 제공하는 경우 링크 텍스트는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이기 때문에 이미지의 alt가 잘못 제공되었거나 빈 값으로 제공된 경우 오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와 같..
페이지 제목 제공웹 페이지의 제목은 유일하고 서로 다르게 제공해야 한다. 그렇게 제공하면 여러 페이지가 열려 있는 경우 비장애인들도 제목만 보고 구분하여 빨리 선택할 수 있다. 스크린리더 사용자도 제목이 전부 똑같이 제공되어 있거나 내용과 다르게 제공되어 있으면 인식하기 힘들기 때문에 페이지 제목을 적절하게 제공해야 한다.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모든 프레임에 제목을 제공하면 시각 장애인, 지적 장애인, 중증 지체 장애인 등의 사용자가 프레임 제목을 통해 프레임 간을 매우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콘텐츠 제목 제공 콘텐츠 블록에도 제목을 제공해야 한다. 뉴스스탠드뉴스스탠드 콘텐츠는 헤딩 태그로 콘텐츠의 제목을 "뉴스스탠드"라고 제공하는 것이 적절하다. 여기에서 주의할 사항은 뉴..
1997년에 일본에서 포켓몬스터 전뇌 전사 폴리곤 편이 방영되었을 때 이 영상으로 인해 750명 정도의 어린아이들이 구토, 어지럼증 증세를 호소하였으며, 심한 경우에는 경련을 일으키거나, 의식 상실, 호흡 장애 등을 겪었다. 원인은 밝은 빛의 화면 점멸이 연속적으로 나오는 장면을 보고 일어난 '광과민성 발작'으로 밝혀졌다. 광과민성 발작이란 오랜 시간 불규칙적으로 깜빡거리는 광과에 자극받아 생기는 간질 발작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에서는 시작 전에 방을 밝게 하고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서 즐기라는 문구가 생겨나기도 했다. 해결 방안번쩍이는 콘텐츠가 차지하는 면적의 합이 화면 전체 면적의 10% 미만시간을 3초 미만으로 제한사전에 경고하고 중단 가능한 수단을 제공 깜빡거리고 번쩍거리는 ..
자동으로 변경되는 콘텐츠는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웹 콘텐츠는 스크롤 및 자동 갱신되는 콘텐츠를 장애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일시 정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정지 기능 제공에 대한 사례들을 살펴보도록 하자. 자동 변경 슬라이드 이전, 다음, 정지 기능을 제공해야 하며 정지 버튼이 없더라도 마우스 오버 시와 키보드 접근 시에 정지되도록 구현하면 정지 기능을 제공한 것으로 인정됩니다.자동 변경 콘텐츠 실시간 검색어처럼 자동 변경되는 콘텐츠에 이전, 다음, 정지 기능이 제공되지는 않더라도 마우스 오버 시와 키보드 접근 시 모든 콘텐츠가 보이고 탐색 가능하면 준수입니다. 비장애인들도 이전 콘텐츠를 보고 싶었는데 넘어가 버린 경우 이를 제어할 수 없으면 해당 콘텐츠가 나올 때까지 기..
콘텐츠를 탐색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사용자들은 시간 제한이 있는 콘텐츠를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시간 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응답 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시간 제한이 있더라도 온라인 경매, 실시간 게임 등과 같이 반응 시간의 조절이 원천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 검사 항목이 적용되지 않는다. 다만, 이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시간 제한이 있다는 것을 미리 알려주고, 종료되었을 경우에도 알려주어야 합니다. 세션 시간이 20시간 이상인 콘텐츠는 예외로 간주해야 한다. 시간 연장이 불가능한 콘텐츠 충분한 시간 제공종료 안내조절 수단 제공웹 콘텐츠 제작 시 시간 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가급적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안 등의 사유로 시간 제한이 반드시 필요할 경우에는 이를 회피할 수 있..
웹 페이지에서 컨트롤을 마우스로 조작할 때 컨트롤이 너무 작으면 클릭하기 어렵다. 사용자 입력 및 컨트롤은 조작 가능하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여기에서의 조작 가능 기준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컨트롤 대각선 길이 6mm 이상컨트롤이 너무 작아서 클릭하기 불편하셨던 적 없던가? 비장애인들도 컨트롤이 작으면 조작이 힘든데요, 정교한 마우스 조작을 할 수 없는 분들은 더 힘들다. 따라서 웹에서 컨트롤의 대각선 길이는 6mm 이상으로 구현되어야 한다.컨트롤 테두리 안쪽으로 1픽셀 이상의 여백 컨트롤이 연달아 있을 때 1픽셀 이상의 여백이 있지 않으면 컨트롤 구분도 힘들고 잘못 선택할 확률도 높다. 따라서 컨트롤은 테두리 안쪽으로 1픽셀 이상의 여백을 두어야 한다. [ 출처 ]BoostCourse 웹 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