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으로 변경되는 콘텐츠는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웹 콘텐츠는 스크롤 및 자동 갱신되는 콘텐츠를 장애인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일시 정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 정지 기능 제공에 대한 사례들을 살펴보도록 하자.
- 자동 변경 슬라이드
- 이전, 다음, 정지 기능을 제공해야 하며 정지 버튼이 없더라도 마우스 오버 시와 키보드 접근 시에 정지되도록 구현하면 정지 기능을 제공한 것으로 인정됩니다.
- 자동 변경 콘텐츠
- 실시간 검색어처럼 자동 변경되는 콘텐츠에 이전, 다음, 정지 기능이 제공되지는 않더라도 마우스 오버 시와 키보드 접근 시 모든 콘텐츠가 보이고 탐색 가능하면 준수입니다.
비장애인들도 이전 콘텐츠를 보고 싶었는데 넘어가 버린 경우 이를 제어할 수 없으면 해당 콘텐츠가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이전, 다음, 정지 기능을 제공하거나 전체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 스크롤 및 자동 갱신되는 콘텐츠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사용 시에는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자동으로 변경되는 콘텐츠를 제어 가능하도록 구현하면 이를 이용하기 어려운 지체 장애인, 노인, 뇌 병변 장애인들도 이용할 수 있다.
[ 출처 ]
BoostCourse 웹 UI 개발 : https://www.boostcourse.org/web344/lecture/35117
728x90
'WEB > 웹 접근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목 제공 (1) | 2024.09.26 |
---|---|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 제한 (3) | 2024.09.26 |
응답 시간 조절 (1) | 2024.09.26 |
조작 가능 (0) | 2024.09.26 |
키보드 사용 보장 & 초점 이동 (0) | 202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