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 지도

수치 지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선행되어야 하는 개념들이 존재한다.

 


 

디지털 매핑(Digital Mapping)

  • 컴퓨터의 화상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지도에 기재된 정보를 항목별로 분류 후 데이터베이스화
  • 이후 해당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용자의 목적에 맞춰 지도를 자유로이 작성하기 위한 기술

 

수치 지형도

  • 지형 지물에 대한 위치와 형상을 좌표 데이터로 나타내어 전산 처리가 가능한 형태로 표현한 지도
  • 일반적으로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해 중·대 축척인 지형도나 현황도를 작성하여 수치화한 지도
[ 수치 지형도 추가 설명]

1. 컴퓨터의 기록 형태는 래스터와 벡터 형태로 구분되어 저장됨
2. 일반적으로 도형을 X, Y 좌표계에서의 좌표값 조합과 두 좌표를 연결한 선분을 사용하여 지도 내 도형을 표현
3. 각종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계에 의한 복합적인 해석 및 처리가 가능
4. 각종 도형 정보에 연계된 부가 정보로서 속성 정보를 가짐
5.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표현을 행함으로써 각종 해석이 쉽게 이루어짐

 

지형 정보

  • 자연적인 것과 인공적인 것을 포함한 객체들을 사용자들에게 시각적이고 그래픽적으로 서비스
  • 점 : 가로수, 맨홀 등...
  • 선 : 하천, 철도, 도로 등...
  • 면 : 호수, 2차원 건물 등...
  • 3차원 객체 : 3차원 건물 등...

 

속성 정보

  • 모든 수치 지도상의 객체들에 대한 X, Y 좌표값 및 다양한 정보
  •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속성 정보화 할 수 있음
  • 속성 및 공간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고도의 해석 후 계획 업무를 지원 가능케 함

 


 

수치 지도의 구성 도식화

 

지형도

  • 지표면에 있는 자연 지물 및 인공 지물의 평면 위치와 수직 위치를 결정하는 지형 측량의 성과를 표시한 것
  • 지형도의 기준은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 축척 : 1 / 1000, 1 / 5000, 1 / 10000, 1 / 25000, 1 / 50000 등...

 

레이어

  • 투명한 도면 여러장을 기능상이나 포현상 구분이 필요한 내용에 따라 따로 분리해 그려놓고 관리하는 기능
  • 대한민국 내 레이어 코드는 다음과 같다.
    • (A) 교통, (B) 건물, (C) 시설, (D) 식생, (E) 수계, (F) 지형, (G) 경계, (H) 주기

 

 

 


 

 

 

[ 출처 ]

목포대학교 KOCW 공개 강의 : http://www.kocw.net/home/cview.do?mty=p&kemId=168512

728x90

'GIS > Defaul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좌표계 [3] 기준 좌표계  (0) 2024.05.13
좌표계 [2] 지오이드와 기준 타원체  (0) 2024.05.13
좌표계 [1] 기본 개념  (0) 2024.05.13
측량의 종류 및 정의  (0) 2024.05.09
GIS 기본 개념  (0) 2024.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