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언어 표시

웹 브라우저는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텍스트 콘텐츠의 언어 정보를 바탕으로 텍스트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보조 기술로 전달한다. 언어를 명시하면 자동 언어 전환을 지원하는 스크린 리더의 경우 선언된 언어로 전환하여 읽어준다. 따라서 웹 페이지에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명시해야 한다. 기본 언어를 어떻게 제공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기본 언어 표시
기본 언어 표시는 HTML 태그에 lang 속성을 사용하여 "ISO639-1"에서 지정한 두 글자로 된 언어 코드로 제공해주시면 된다. 한국어는 언어 코드가 "ko"이므로 한국어 페이지는 기본 언어를 한국어로, 영어 페이지는 기본 언어를 영어로 설정해주시면 된다. 기본 언어 설정을 해둔 상태에서 중간에 다른 언어가 존재한다면 해당 영역에만 lang 속성으로 적절한 언어를 제공해주시면 된다.

 


 

문서 타입별 기본 언어 표시

 

  (1) HTML 4.01/HTML5 표준

<html lang="ko">

 

  (2) XHTML 1.0 표준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xml:lang="ko" lang="ko">

 

  (3) XHTML 1.1 표준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xml:lang="ko">

 

 

 


 

 

 

[ 출처 ]

BoostCourse 웹 UI 개발 : https://www.boostcourse.org/web344/lecture/35122

728x90

'WEB > 웹 접근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의 구성  (2) 2024.09.26
콘텐츠의 선형 구조  (1) 2024.09.26
적절한 링크 텍스트  (1) 2024.09.26
제목 제공  (1) 2024.09.26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 제한  (3) 2024.09.26